전체 글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MacBook Air M2 vs. MacBook Air M1 비교하기 2022년 7월 8일에 드디어 맥북 에어 M2 사전 예약이 시작되었다. 2020년도에 나온 M1의 후속작을 2년만에 출시했다. 어떤 차이가 있었고 가격 또한 어떻게 바뀌었을지 적어보면서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모델 Macbook M1 2020 Macbook M2 2022 프로세서 Apple M1칩 Apple M2칩 디스플레이 크기 33.7cm LED 백라이트 34.5cm Liquid Retina 디스플레이 밝기 400 니트 500 니트 GPU 7 코어 최대 10 코어 RAM 최대 16GB 최대 24GB 저장장치 최대 2TB 최대 2TB 배터리 시간 18 시간 18 시간 두께 0.41cm~1.61cm 1.13cm 무게 1.29kg 1.24kg 오디오 스테레오 스피커 4 스테레오 스피커 카메라 720p Fa.. 기계 설계: 특수기어(2) 벨트(1) 헬리컬기어에서 치면은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도 설계가 취직 각 단면에 대해서 이뤄지므로 취직 각 단면에 상응하는 가상 평 기어의 이을 수와 피치원 지름을 알아야 한다. 또 하나 가상 평 기어의 이을 수 있는 랙 커터를 사용하여 취직 각 방식으로 기어를 가공하는 경우에 공구 번호를 선정하는 데도 사용된다. 베벨기어(bevel gear)는 원추 마찰차의 표면에 이를 만들어 두 축이 교차하는 경우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요소이다. 베벨기어의 바깥쪽을 대단부 또는 외 단부, 안쪽을 소단부 또는 내 단부라고 한다. 이의 크기는 이을 줄을 따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의 크기를 나타낼 때 일반적으로 왜 단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한다. 기준 압력 각은 취직 각 압력 각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원추 거리는 .. 기계 설계: 평기어(2) 특수기어(1) 기어 각부의 명칭은 한 개의 이는 피치(pitch circle) 또는 피치 선의 바깥쪽 부분과 안쪽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깥쪽 치면 이끌면(tooth face), 안쪽 치면 이뿌리면(tooth flank) 이라 하고 피치원에서 이 끝까지의 반지름 방향의 높이를 이 끝 높이(addendum), 피치원에서 이뿌리까지의 높이를 이뿌리 높이(dedendum)라 한다. 이 끝을 연결하는 원을 이 끝 원(addendum circle), 이뿌리를 연결하는 원을 이뿌리 원(dedendum circle), 그 사인의 높이를 총이 높이(whole depth)라고 한다. 또한 이뿌리 높이는 오물, 제작 오차, 온도상승에 따른 열팽창 들을 고려하여 이 끝 높이보다 크게 하며 이뿌리 높이와 이 끝 높이의 차이를 이 끝 .. 기계 설계: 마찰차(1) 평기어(1) 두 축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는 두 축 사이의 거리에 따라 회전체가 직접 접촉하는 직접 전동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간접 전동이 있다. 그중에서 마찰차의 전동은 직접 회전체가 접촉하는 전동방식이다. 마찰차는 두 축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때 두 축에 알맞은 모양의 바퀴를 설치하고 서로 접촉하게 하여 원동축의 회전을 마찰에 의해 종동축에 전달하는 기계요소이다. 이처럼 마찰에 의해 전동 되는 마찰차는 종동축에 과부하가 생기면 미끄럼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속도비와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없지만, 조용하게 운전하면서 무리 없이 마찰 차를 붙이거나 뗄 수 있고, 연속적으로 속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현재 마찰차는 무단변속장치에 많이 사용된다. 마찰 차를 반지름 방향으로 누르는 힘으로 마찰력이 .. 기계 설계: 구름 베어링(2) 원통 롤러 베어링은 전 동체로서 원통 롤러를 사용한 것이며 궤도륜과 선 접촉을 하므로 레이디 얼 방향의 부하용량이 크다. 롤러는 네륜과 외운 의 플랜지(flange)에 의해 안내되어 있으며 그 유무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이 있다.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전 동체가 테이퍼 롤러이기 때문에 원추형이다. 네륜과 외륜, 그리고 원추의 꼭짓점이 축 선상의 한점에 모인다. 그러므로 레이디 얼 하중과 스러스트킥의 합성 하중에 대한 부하 능력이 크다. 그러나 레이디 얼 하중만 작용하는 경우에는 축 방향의 분력이 생기므로 보통 2개를 대칭되게 설치한다. 구면 롤러 베어링은 구면인 롤러를 전 동체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동조심성이 있다. 부하용량이 크고 저속 충격에 적합하다. 너희 롤러 베어링은 바늘 모양의 롤러를 사용하기 .. 기계 설계: 미끄럼 베어링(2) 구름 베어링(1) 평행 미끄럼면은 미끄럼면이 정지 면에 대해서 평행한 것으로 미끄럼면이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러져 갈 때 두면 사이에 발생하는 베어링압력은 미끄럼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평행 미끄럼면은 공작 기계의 안내면과 칼라 스러스트 베어링의 미끄럼면에 사용된다. 경사 미끄럼면은 미끄럼면이 정지 면에 대해 경사진 것으로 미끄럼면이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러져 갈 때 그 압력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입구와 출고에서 영이 되고 중앙 부위에서 최고압력으로 되는 포물선 분포를 이룬다. 경사 미끄럼면은 스러스트 베어링인 미첼 베어링에 응용되고 있다. 원통 미끄럼면은 미소 경사 미끄럼면들의 조합으로 볼 수 있으며, 원통 미끄럼면은 레이디얼 베어링에 사용된다. 베어링압력은 원통 미끄럼면에 해당하는 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분.. 기계 설계: 미끄럼 베어링(1) 기계에서 회전하는 축을 지지하는 기계요소를 베어 ㅇ이라고 하고, 베어링으로 지지가 되는 축 부분을 저널이라 한다. 베어링을 접촉형식과 작용하중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베어링은 축과 짝을 이루어 회전 시 마찰로 인해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설계할 때 재료의 선택과 구조, 그리고 윤활에 유의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대운동을 하는 두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 마멸과 윤활을 대상으로 한 트라이볼로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끄럼 베어링은 규격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베어링의 치수를 계산하여 자체 제작하거나 주문 제작하여야 한다. 미끄럼 베어링의 안지름과 폭이 미끄럼 베어링으로 지지가 되는 저널의 치수와 거의 같으므로 저널의 치수를 계산하여 미끄럼 베어링의 치수로 정한다. 저.. 기계 설계: 축이음(2), 클러치(1) 한쪽 플랜지의 볼트 구멍에 고무링을 넣어 진동 충격 변형을 고무의 탄성으로 흡수케 할 수 있다. 볼트와 고무링 사이의 마찰로 인해 고무의 마멸이 커 수명이 짧은 것이 흠이라 할 수 있으나 플렉시블 커플링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벨트의 탄성을 이용한 플렉시블 커플링으로 양축 단에 고정된 원판형 플랜지의 외주에 각각 다수의 돌기 턱을 만들어 이에 따라 한 개의 벨트를 파형으로 연결한 것이다. 장시간 사용하면 탄성이 감소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나 유연성과 전기적 절연 작용이 좋아 수력원동기, 발전기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외치 내통을 각각 축에 고정하고 이것과 물림을 같이 하는 내치 외통의 플랜지를 볼트로 연결한 플렉시블 커플링이다. 이 커플링은 기어의 백래시와 이 끝 틈새에 의해 축의 편심을 완화해 .. 이전 1 2 다음